Our laboratory is also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photodetector technology as a subcategory of solar cell research, leveraging the similarities in devic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s. A photodetector is a device that absorbs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enabling light detection.
In our research, we utilize the measurement of photocurrent generated upon photo-excitation of the photoactive layer (energy absorption layer) in solar cells as an indicator of photodetection performance.
Currently, we are conducting research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devices by maintaining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perovskite solar cells while introducing noble metal nanoparticles to induce surface plasmon resonance effects within the device or by controlling the dimensionality of the photoactive layer.
본 연구실에서는 소자 구성 및 작동 원리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태양전지 연구의 한 범주로서 광 검출기 기술 개발에도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광 검출기란 특정 파장의 광원을 흡수하고 이것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줌으로써 광 검출의 기능을 하는 소자인데, 태양전지 소자에 적용되는
광활성층(에너지흡수층)의 광여기(photo-excitation)시 발생하는 광전류(photocurrent) 측정을 광 검출의 표지로 이용합니다.
현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의 기본 구성은 유지하되 귀금속 나노 입자를 도입하여 소자 내부에 표면 플라즈몬 공명 효과를 유발하거나 광활성층의
차원 제어를 통해 소자의 효율 및 안정성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